뷔페 식당서 ‘많이 먹었다’며 주인에게 혼난 여성… 누리꾼들 갑론을박

생활 이야기

14/07/2025 23:45

최근 한 여성이 SNS에 뷔페 식당에서 식사를 한 뒤 업주와 직원들에게 질책을 받았다고 공개해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해당 여성은 “처음 접시엔 각 메뉴를 조금씩 담았고, 두 번째 접시는 비빔밥, 마지막은 호박죽, 미역국, 동치미 몇 숟갈뿐이었다”며, “음식을 낭비하지 않고 다 먹었다”고 주장하며 빈 접시 사진을 함께 올렸습니다.

하지만 식당 주인은 그녀의 빈 접시를 본 뒤 “몇 명이서 먹은 거냐”고 물었고, 혼자라고 하자 “이건 아니다. 한 사람이 10가지 넘게 먹으면 너무 많다”고 주방 직원에게 말했습니다. 또 다른 여성 직원은 “이 정도 먹고 8,000원만 내다니…”라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결국 수모를 느낀 여성은 2인분 금액을 지불하고 식당을 떠났습니다. 그녀가 올린 영상에서는 두 배 금액을 내겠다고 제안하는 모습과 함께, 업주는 계속해서 불만을 토로하고 있었습니다. 식당 내부에는 “음식을 남기면 3,000원 추가 요금”, “생선은 2조각까지”, “불고기는 적당히” 등의 안내문도 걸려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Một trong ba đĩa thức ăn nữ khách hàng ăn trong cửa hàng buffet. Ảnh: Koreatimes

이 사건은 ‘정액제로 마음껏 먹는 것’이라는 뷔페의 개념과 업주의 태도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켰습니다.

대부분의 네티즌은 해당 여성의 편을 들며, “뷔페를 운영하면서 손님이 많이 먹는다고 뭐라 하면 안 된다”, “음식을 남기지도 않았는데 왜 문제냐”는 반응을 보였습니다.

반면 일부는 식당 측 입장을 이해한다며, “저렴한 가격으로 운영하는 뷔페는 손님이 과도하게 먹을 경우 수익이 안 날 수 있다”, “이 식당은 뷔페라기보다 구내식당 분위기”라고 평했습니다.

이와 같은 논란은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에서도 종종 발생하고 있습니다. 독일에서는 2018년 한 남성이 스시 뷔페에서 한 번에 100조각씩 먹는다는 이유로 출입 금지 조치를 받은 바 있으며, 중국은 2021년부터 음식 낭비 방지법을 시행하고, 먹방 촬영과 과도한 음식 섭취를 제한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도 일부 뷔페는 남긴 음식에 대해 추가 요금을 부과하거나, 무분별한 이용 고객에 대한 서비스 제한을 두기도 합니다.

미국의 식사 예절 전문가 윌리엄 핸슨(William Hanson)은 “뷔페는 무제한 먹기 위한 자리가 아니라, 책임감 있게 즐기는 예술”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는 “먹을 수 있는 양만큼만 담아야 하며, 다른 손님들의 몫까지 가져가는 행동은 피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Các bài viết liên quan

photo

한국, 조기 영어교육 열풍에 제동 건다

전국 17개 교육청이 모두 유아 대상 영어 조기 교육 제한에 찬성 의사를 밝히며, 한국 사회 전반에 퍼진 ‘영어 조기 학습 열풍’을 멈추려는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다.
07-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수십 건의 입사 지원에도 불구하고 일자리를 얻지 못한 한국 청년들이 사회로부터 ‘게으르다’는 낙인을 받고 있다.

치열한 경쟁과 불안정한 노동 시장 속에서 성실히 노력한 청년들이 ‘무기력 세대’로 불리는 현실은 한국 사회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내고 있다.
05-11-2025 생활 이야기
photo

대구 상가 건물서 푸들 30여 마리 방치… 17마리는 이미 사망

대구 상가 건물서 푸들 30여 마리 방치… 17마리는 이미 사망 대구 서구의 한 상가 건물에서 30마리가 넘는 푸들이 열악한 환경에 방치된 채 발견되어 충격을 주고 있다. 구조대가 현장에 진입했을 때, 바닥에는 무릎 높이까지 쌓인 배설물과 쓰레기, 그리고 심한 악취 속에 17마리의 죽은 개가 섞여 있었다. 동물구조협회에 따르면, 해당 건물에서는 총 36마리의 푸들이 발견됐다. 이들은 충분한 먹이와 물을 제공받지 못했으며, 중성화 수술도 이루어지지 않은 채 오랜 기간 사체와 함께 생활한 것으로 확인됐다. 견주는 3년 전 이 건물을 임대했으나 주민등록을 하지 않았고, 거의 방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건물 내부는 사실상 방치된 지옥과도 같은 공간으로 변했다. 지역 주민과 자원봉사자들의 도움으로 5마리는 임시 보호소로 옮겨졌고, 나머지 개들은 입양을 기다리고 있다. 시민들은 담요, 사료 등을 기부하고 직접 목욕과 미용을 도우며 구조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경찰은 해당 여성에 대해 「동물보호법」 위반 혐의로 입건하고, 사망한 개들의 정확한 사인을 조사 중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사 사건에서 “동물은 개인의 재산”이라는 이유로 법적 책임을 회피하는 경우가 많아 처벌이 쉽지 않다고 지적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애니멀 호더(animal hoarder)’ 현상이 단순한 방치가 아닌 심리적 장애의 표현이라고 분석했다. 대구대학교 서병부 교수는 “정신적 위기를 겪는 사람들이 과도한 동물 사육을 통해 심리적 결핍을 보상하려는 경우가 있다”며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심리 치료와 함께 책임 있는 반려동물 양육 교육이 병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04-11-2025 교류 및 생활
photo

서울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긍정적… 확대 시행 검토

서울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긍정적… 확대 시행 검토 서울시가 마포구와 서초구에서 실시한 ‘킥보드 없는 거리’ 시범사업 결과, 시민 대부분이 보행 안전성과 보행 환경이 개선됐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시는 보행자 밀집 지역이나 사고 위험이 높은 구역을 중심으로 사업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8월 마포·서초 시범구역 인근 주민 500명(18~60세)**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77%가 충돌 위험이 줄었다, 69%가 보행 환경이 좋아졌다, 그리고 80% 이상이 전동킥보드 방치가 크게 감소했다고 답했다. 또한, 98.4%의 시민이 확대 시행에 찬성했으며, 2.6%만이 불편함을 느낀다고 밝혔다. 시범사업은 올해 5월부터 시행됐으며, **마포구 홍대 ‘레드로드’(1.3km)**와 **서초구 반포 학원가 일대(2.3km)**에서 낮 12시부터 밤 11시까지 운영되고 있다. 해당 구역 내에서는 전동킥보드, 전동이륜차, 전기자전거 등의 통행이 전면 금지된다. 위반 시, 일반 도로에서는 벌금 3만 원 및 면허 벌점 15점, 어린이보호구역에서는 벌금 6만 원 및 벌점 30점이 부과될 수 있다. 현재 경찰은 계도 기간을 운영 중이며, 시민 인식 개선을 위한 홍보 중심의 단속을 이어가고 있다.
04-11-2025 교류 및 생활
photo

한국 여성, 치킨과 탄산음료를 먹으면서도 30kg 감량 성공

닭튀김과 탄산음료를 포기하지 않고도 85kg에서 55kg으로 30kg을 감량한 한국 여성 서유진(Seo Yujin)의 다이어트 비결이 화제다. 그녀는 단순하지만 꾸준히 실천 가능한 식습관과 운동법 4가지를 통해 체중 감량에 성공했다고 TVBS가 10월 31일 보도했다.
04-11-2025 생활 이야기
quang-cao